
![마련 계획 공포(방송위원회, ‘07년 4월) □ 제2단계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종합대책(경제정책조정회의, ‘07년 7월) ◦ 한미 FTA 등 시장개방에 대비, 방송․문화 등 주요 지식기반서비 스 업종의 경쟁력 강화 추진 ◦ 한미 FTA 등 방송시장개방에 대비 ‘디지털 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건립 지원’ 등 다각적 대책 검토 결정
2 「디지털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건립사업」 예비타당성조사
□ 사전 용역, 『디지털방송 지원시스템 구축방안 연구』수행(방송위원 회, ‘07년 4~8월) □ 『디지털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건립사업』을 ’07년 하반기 예비타당성 조사사업으로 제출(방송위원회)
3. 사업 내용
□ 사업지 : 경기도 고양시 한류우드 제3구역 내 A4 지역 □ 사업규모 ◦ 부지: 10,702㎡, 건축 연면적:23,456㎡(지상 8층, 지하1층) ◦ 총사업비: 1,221억원1)(공사비: 539억원, 시설부문: 682억원) □ 재원조달 ◦ 국고지원비율: 총사업비의 100% - 시설부문 사업비는 방송발전기금 활용(방송법 제36조, 제38조)을 통한 조달을 고려 □ 이용대상: 음악라디오PP, 공공PP, 홈쇼핑PP를 제외한 모든 PP □ 사업기간 : 2009~2011(3년) □ 수요분석기간: 2012~2041(30년)
<표 1>디지털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기본계획(안)
(단위: ㎡)
대지면적 건물규모 건물구조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 용적율
자료: (구) 방송위원회
10,702.00 지상 8층, 지하 1층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4,930 23,456 46.07% (법정 : 50%) 219.17% (법정 : 450%)
1)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제출한 사업단가를 기준으로 하여 총사업비를 정확히 추산하면 1,202억원 임. 그러나 사업개요 설명에서는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1,221억원으로 설명함(본문의 Ⅲ장. 비 용 추정 참조)
요약3
[그림 1] 디지털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계획도
자료: (구) 방송위원회
<표 2> 주요 업무시설 현황
구 분 스튜디오 제작 업무 시설 교육 송출 종합편집실 개인편집실 녹음/더빙실 교육실 H D 송출센터 규모 7실 4실 10실 2실 15실 1실 세부내역 대형(660㎡)스튜디오 2실, 중형(330㎡)스튜디오 4실, 버츄얼(200㎡) 스튜디오 1실 L E 2실, NLE 2실 L E 5실, NLE 5실 15개 NLE시설 30개 채널 송출
자료: (구) 방송위원회 제공, 주.LE(Linear Edit) : 선형편집, NLE(Nonlinear Edit) : 비선형편집
4 「디지털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건립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표 3> 층별 업무시설 면적 현황
구분 스 튜 디 오 동 지하1층 지상1층 지상2층 지상3층 지상4층 소계 지상1층 지상2층 지상3층 제 작 동 지상4층 지상5층 지상6층 지상7층 지상8층 소계 합계 면적(㎡) 1,322 1,322 331 1,322 331 4 ,6 2 8 1 ,8 3 0 840 1 ,7 8 0 1 ,1 4 0 1 ,7 8 0 1 ,7 8 0 1 ,7 8 0 940 1 1 ,8 7 0 1 6 ,4 9 8 C /D 마련 계획 공포(방송위원회, ‘07년 4월) □ 제2단계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종합대책(경제정책조정회의, ‘07년 7월) ◦ 한미 FTA 등 시장개방에 대비, 방송․문화 등 주요 지식기반서비 스 업종의 경쟁력 강화 추진 ◦ 한미 FTA 등 방송시장개방에 대비 ‘디지털 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건립 지원’ 등 다각적 대책 검토 결정
2 「디지털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건립사업」 예비타당성조사
□ 사전 용역, 『디지털방송 지원시스템 구축방안 연구』수행(방송위원 회, ‘07년 4~8월) □ 『디지털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건립사업』을 ’07년 하반기 예비타당성 조사사업으로 제출(방송위원회)
3. 사업 내용
□ 사업지 : 경기도 고양시 한류우드 제3구역 내 A4 지역 □ 사업규모 ◦ 부지: 10,702㎡, 건축 연면적:23,456㎡(지상 8층, 지하1층) ◦ 총사업비: 1,221억원1)(공사비: 539억원, 시설부문: 682억원) □ 재원조달 ◦ 국고지원비율: 총사업비의 100% - 시설부문 사업비는 방송발전기금 활용(방송법 제36조, 제38조)을 통한 조달을 고려 □ 이용대상: 음악라디오PP, 공공PP, 홈쇼핑PP를 제외한 모든 PP □ 사업기간 : 2009~2011(3년) □ 수요분석기간: 2012~2041(30년)
<표 1>디지털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기본계획(안)
(단위: ㎡)
대지면적 건물규모 건물구조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 용적율
자료: (구) 방송위원회
10,702.00 지상 8층, 지하 1층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4,930 23,456 46.07% (법정 : 50%) 219.17% (법정 : 450%)
1)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제출한 사업단가를 기준으로 하여 총사업비를 정확히 추산하면 1,202억원 임. 그러나 사업개요 설명에서는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1,221억원으로 설명함(본문의 Ⅲ장. 비 용 추정 참조)
요약3
[그림 1] 디지털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계획도
자료: (구) 방송위원회
<표 2> 주요 업무시설 현황
구 분 스튜디오 제작 업무 시설 교육 송출 종합편집실 개인편집실 녹음/더빙실 교육실 H D 송출센터 규모 7실 4실 10실 2실 15실 1실 세부내역 대형(660㎡)스튜디오 2실, 중형(330㎡)스튜디오 4실, 버츄얼(200㎡) 스튜디오 1실 L E 2실, NLE 2실 L E 5실, NLE 5실 15개 NLE시설 30개 채널 송출
자료: (구) 방송위원회 제공, 주.LE(Linear Edit) : 선형편집, NLE(Nonlinear Edit) : 비선형편집
4 「디지털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건립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표 3> 층별 업무시설 면적 현황
구분 스 튜 디 오 동 지하1층 지상1층 지상2층 지상3층 지상4층 소계 지상1층 지상2층 지상3층 제 작 동 지상4층 지상5층 지상6층 지상7층 지상8층 소계 합계 면적(㎡) 1,322 1,322 331 1,322 331 4 ,6 2 8 1 ,8 3 0 840 1 ,7 8 0 1 ,1 4 0 1 ,7 8 0 1 ,7 8 0 1 ,7 8 0 940 1 1 ,8 7 0 1 6 ,4 9 8 C /D](/image.do?type=idas&timeFile=/asset/2013/07/03/DOC/PREVIEW/04201307030127034038452.jpg)
Title |
디지털방송콘텐츠 제작센터 건립사업
Similar Titles
|
---|---|
Material Type | Reports |
Author(Korean) |
한국개발연구원(공공투자관리센터) |
Publisher |
[서울] : 한국개발연구원 |
Date | 2008-07 |
Series Title; No |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
Pages | 26 |
Subject Country | South Korea(Asia and Pacific) |
Language | Korean |
File Type | Documents |
Original Format | |
Subject | Territorial Development < National Land Development |
Holding | 한국개발연구원; KDI 국제정책대학원 |
Licens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