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명에서 2010년 2.8명으로, 그리고 2030년에는 다시 2.5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
향후 고령화, 소가족화 등 인구구조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는 인구구조 변화가 연령대· 주택규모별로 세분화된 주택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정책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우리나라는 향후 고령화, 소가족화 등 인구구 조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은 2000 년 8% 수 준 에 서 2010년 11%로 증 가 하 였 고, 2030년에는 26%로 고령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 될 전망이다. 1·2인 가구의 증가로 인한 소가족 화 또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평균 가구원 수
* 본고는 이창무(2013)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작성한 것임을 밝혀 둔다.
된다. 이와 같은 인구구조의 변화가 향후 부동산 시장 및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점증할 것으 로 보인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에 대한 세 심한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과제는 고령화 및 소가족화가 연령대·주택 규모별로 세분화된 주택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실 증적으로 추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정책시사
”
2
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별히 ‘분위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특정 가구의 평균적인 주
[그림 1]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시장의 연계성
생산가능 인구↓
고령화
성장률↓
택규모의 선택이 아닌 시장 여건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주택규모 분포의 변화를 추정한 것이 본 연구의 특징이다.
소가족화
주택수요
주택공급
II.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수요 논란
주택정책 주택가격
1989년 미국의 맨큐-와일(Mankiw-Weil, 이 하 MW)에 의해서 제기된 ‘자산가격붕괴가설’ 1) (즉, 미국의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 및 은퇴에 따라 주택수요가 하락하고, 이로 인하여 주택가 격이 큰 폭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 이후 국내외 에서 고령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실증분석들이 있어 왔다. 지난 10여 년간 국내 주택시장을 대상으로 한 계량분석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
고령화·소가족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수요·공급의 양 측면과 함께 거시경제 채널을 통한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총량적인 수요뿐만 아니라 특정 유형의 주택에 대한 선호도 변화도 분석대상이 되어야 함.
것으로 결론 내리고 있다. 반면, 홍기석(2013)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구 단위 자료를 사용하여 1990년대의 인구구조 변화가 2000년대의 주택 가격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자산가격결정모형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을 사용 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의 결과, 1990년대 고 령인구비율의 증가는 2000년대 주택가격을 하락 시키는 반면, 가구 수의 증가는 주택가격을 상승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두 가지 변화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주택가 격이 하락하는 것으로 결론 내리고 있다. 상기 분석의 결과가 미래에도 적 .2명에서 2010년 2.8명으로, 그리고 2030년에는 다시 2.5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
향후 고령화, 소가족화 등 인구구조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는 인구구조 변화가 연령대· 주택규모별로 세분화된 주택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정책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우리나라는 향후 고령화, 소가족화 등 인구구 조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은 2000 년 8% 수 준 에 서 2010년 11%로 증 가 하 였 고, 2030년에는 26%로 고령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 될 전망이다. 1·2인 가구의 증가로 인한 소가족 화 또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평균 가구원 수
* 본고는 이창무(2013)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작성한 것임을 밝혀 둔다.
된다. 이와 같은 인구구조의 변화가 향후 부동산 시장 및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점증할 것으 로 보인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에 대한 세 심한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과제는 고령화 및 소가족화가 연령대·주택 규모별로 세분화된 주택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실 증적으로 추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정책시사
”
2
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별히 ‘분위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특정 가구의 평균적인 주
[그림 1]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시장의 연계성
생산가능 인구↓
고령화
성장률↓
택규모의 선택이 아닌 시장 여건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주택규모 분포의 변화를 추정한 것이 본 연구의 특징이다.
소가족화
주택수요
주택공급
II.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수요 논란
주택정책 주택가격
1989년 미국의 맨큐-와일(Mankiw-Weil, 이 하 MW)에 의해서 제기된 ‘자산가격붕괴가설’ 1) (즉, 미국의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 및 은퇴에 따라 주택수요가 하락하고, 이로 인하여 주택가 격이 큰 폭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 이후 국내외 에서 고령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실증분석들이 있어 왔다. 지난 10여 년간 국내 주택시장을 대상으로 한 계량분석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
고령화·소가족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수요·공급의 양 측면과 함께 거시경제 채널을 통한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총량적인 수요뿐만 아니라 특정 유형의 주택에 대한 선호도 변화도 분석대상이 되어야 함.
것으로 결론 내리고 있다. 반면, 홍기석(2013)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구 단위 자료를 사용하여 1990년대의 인구구조 변화가 2000년대의 주택 가격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자산가격결정모형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을 사용 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의 결과, 1990년대 고 령인구비율의 증가는 2000년대 주택가격을 하락 시키는 반면, 가구 수의 증가는 주택가격을 상승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두 가지 변화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주택가 격이 하락하는 것으로 결론 내리고 있다. 상기 분석의 결과가 미래에도 적](/image.do?type=idas&timeFile=/asset/2014/09/25/DOC/PREVIEW/04201409250134351030665.jpg)
Title |
고령화, 소가족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시사점 분석
Similar Titles
|
---|---|
Material Type | Report |
Author(Korean) |
조만; 이창무 |
Publisher |
세종특별자치시 : 한국개발연구원 |
Date | 2014-05 |
Series Title; No | KDI Focus / 통권 제39호 |
Pages | 8 |
Subject Country | South Korea(Asia and Pacific) |
Language | Korean |
File Type | Documents |
Original Format | |
Subject | Economy < Economic Conditions Social Development < Population |
Holding | 한국개발연구원 |
Licens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