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후 꾸준히 감소하였으나 2014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추세임.
[고용률과 실업률]
(단위: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각 연도)
2. 연령별 고용률 현황 ◦ 15~19세의 고용률은 2013년 6.9%에서 2015년 7.9%로 소폭 상승 ◦ 25~29세의 고용률은 2013년 68.8%에서 2015년 69.0%로 미미하게 증가하였으나 30~39세의 고용률은 2013년 73.2%에서 2015년 소폭 상승함. ◦ 65세 이상 고용률은 2013년 30.9%에서 2015년 30.6%로 0.3%p 감소함.
[연령별 고용률]
(단위: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각 연도)
3. 월평균 임금 ◦ 월평균 임금은 2014년 275만 원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음.
[월평균 임금]
(단위: 천 원)
자료: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구)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각 연도)
4. 청년층 경제활동 참가율 및 실업률 ◦ 청년층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4년 49.2%에서 2015년 45.7%로 3.5%p 감소함. ◦ 청년층 실업률은 2000년 이후 꾸준히 7.0~8.5%를 유지하였으나, 2014 년에는 이후에는 9.0% 수준임.
[청년층 경제활동 참가율 및 실업률]
(단위: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각 연도)
5. 총 고용률 국제비교 ◦ 한국의 총 고용률은 65.3%로 OECD 평균인 65.8%보다 낮으며, 프랑 스와 비슷한 수준임.
[총 고용률 비교]
(단위: %)
자료: OECD(2014). Employment Outlook
Ⅱ. 평생직업교육 및 산학협력
1. 교원 1인당 학생 수 ◦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2015년 고등교육기관 전체 28.7명, 전문대학
36.1명, 일반대학 24.6명으로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임. - 전문대학은 2005년 44.1명에서 2015년 36.1명으로 8명이 줄어들었
으며, 일반대학은 2005년 29.5명에서 2015년 24.6명으로 4.9명이 줄 어들었고 고등교육기관 전체를 살펴보면 2005년 36.1명에서 2015년
28.7명으로 7.4명이 줄었음.
[연도별 교원 1인당 학생 수]
(단위: 명)
주: 1)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 (재학생 수/전임교원 수) 2) 교원 수는 총(학)장 및 전임교원(교수, 부교수, 조교수)만 포함됨. 3) 일반대학의 전임교원 수와 재학생 수에는 학부와 대학부설 대학원의 현황이 포함됨. 자료: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각 연도)
2.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 현황 ◦ 우리나라는 고등교육 기회의 확대로 풍부한 인적자원이 배출되어 왔음. 고등교육기관 전체 취업률을 살펴보면 2014년 상반기 58.6%에서 하반기 67.0%로 소폭 증가하였지만, 기능대학의 취업률은 소폭 감소 하는 추세를 보임.
[2014년 상·하반기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 현황]
(단위: %)
자료: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연보(2014)
3. 평생학습 참여 ◦ 2015년 우리나라의 평생학습 전체 참여율은 40.6%로 2009년에
28.0%에서 12.6%p 증가하였음. 형식교육 참여 이후 꾸준히 감소하였으나 2014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추세임.
[고용률과 실업률]
(단위: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각 연도)
2. 연령별 고용률 현황 ◦ 15~19세의 고용률은 2013년 6.9%에서 2015년 7.9%로 소폭 상승 ◦ 25~29세의 고용률은 2013년 68.8%에서 2015년 69.0%로 미미하게 증가하였으나 30~39세의 고용률은 2013년 73.2%에서 2015년 소폭 상승함. ◦ 65세 이상 고용률은 2013년 30.9%에서 2015년 30.6%로 0.3%p 감소함.
[연령별 고용률]
(단위: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각 연도)
3. 월평균 임금 ◦ 월평균 임금은 2014년 275만 원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음.
[월평균 임금]
(단위: 천 원)
자료: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구)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각 연도)
4. 청년층 경제활동 참가율 및 실업률 ◦ 청년층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4년 49.2%에서 2015년 45.7%로 3.5%p 감소함. ◦ 청년층 실업률은 2000년 이후 꾸준히 7.0~8.5%를 유지하였으나, 2014 년에는 이후에는 9.0% 수준임.
[청년층 경제활동 참가율 및 실업률]
(단위: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각 연도)
5. 총 고용률 국제비교 ◦ 한국의 총 고용률은 65.3%로 OECD 평균인 65.8%보다 낮으며, 프랑 스와 비슷한 수준임.
[총 고용률 비교]
(단위: %)
자료: OECD(2014). Employment Outlook
Ⅱ. 평생직업교육 및 산학협력
1. 교원 1인당 학생 수 ◦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2015년 고등교육기관 전체 28.7명, 전문대학
36.1명, 일반대학 24.6명으로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임. - 전문대학은 2005년 44.1명에서 2015년 36.1명으로 8명이 줄어들었
으며, 일반대학은 2005년 29.5명에서 2015년 24.6명으로 4.9명이 줄 어들었고 고등교육기관 전체를 살펴보면 2005년 36.1명에서 2015년
28.7명으로 7.4명이 줄었음.
[연도별 교원 1인당 학생 수]
(단위: 명)
주: 1)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 (재학생 수/전임교원 수) 2) 교원 수는 총(학)장 및 전임교원(교수, 부교수, 조교수)만 포함됨. 3) 일반대학의 전임교원 수와 재학생 수에는 학부와 대학부설 대학원의 현황이 포함됨. 자료: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각 연도)
2.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 현황 ◦ 우리나라는 고등교육 기회의 확대로 풍부한 인적자원이 배출되어 왔음. 고등교육기관 전체 취업률을 살펴보면 2014년 상반기 58.6%에서 하반기 67.0%로 소폭 증가하였지만, 기능대학의 취업률은 소폭 감소 하는 추세를 보임.
[2014년 상·하반기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 현황]
(단위: %)
자료: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연보(2014)
3. 평생학습 참여 ◦ 2015년 우리나라의 평생학습 전체 참여율은 40.6%로 2009년에
28.0%에서 12.6%p 증가하였음. 형식교육 참여](/image.do?type=idas&timeFile=/asset/2018/01/15/DOC/PREVIEW/04201801150149541030646.jpg)
Title |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2016
Similar Titles
|
---|---|
Material Type | Report |
Author(Korean)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Publisher |
세종, 한국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Date | 2016-04 |
Series Title; No | 연구자료 / 2016-15 |
Pages | 157 |
Subject Country | South Korea(Asia and Pacific) |
Language | Korean |
File Type | Documents |
Original Format | |
Subject | Social Development < Education Social Development < Employment |
Holding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Licens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