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이 매우 낮은 가운데, 9월에는 소비자물가가 하락하면서 디플레이션에 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의 물가하락은 장기적인 물가상승률 둔화 현상에 단기적인 요인이 가세하면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물가상승률 둔화를 가져온 요인으로는 노동분배율 하락 등에 따른 필립스 곡선의 평탄화, 중앙은행의 목표물가상승률 하락, 세계화의 영향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단기적 요인으로는 공급 측면에서 농산물의 공급증가와 원유 등 생산재의 수입물가 하락이, 수요 측면에서 경기부진에 따른 총수요 둔화가 물가하락을 초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0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