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한 경제정책의 파급효과는 대면?밀집활동 관련 서비스업의 생산활동이 제약됨에 따라 과거에 비해 약화될 여지 ■ 경기 완충 목적의 거시경제정책은 정책의 효과성이 축소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경기상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통해 필요시 추가적인 확장을 고려할 필요 ■ 아울러, 코로나19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대면?밀집활동 서비스업과 고용의 안정화를 위해 재정적 지원을 지속할 필요 ■ 한편, 금융시장의 도덕적 해이 확산, 부실기업 지원 등 위기 대응 정책이 장기화되면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선제적으로 식별하고 대응하는 노력이 필요
0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