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Go to footer Go to GNB
Management

지역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혁신지원기관 효율화 방안

Download 75
Resources Content Information Item Table
Title 지역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혁신지원기관 효율화 방안
Publisher 세종 : 산업연구원
Publication Date 2017 - 09
Material Type Report
Country South Korea Holding 산업연구원
Language Korean License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Series Title KIET 산업경제

Abstract

지역혁신지원기관은 지역의 산업육성 및 기업역량 제고를 위한 기술개발, 시험·생산지원, 인증·평가지원 등을 수행하는 지역의 중추적인 기관이다. 혁신지원기관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응과 관련하여 기술융합·협업을 주도하고 지식의 창출·이전·확산·보급을 중개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연구개발, 기업지원, 기업·기관 간 네트워크 형성 등 지역혁신지원기관의 역할이 증대됨에도 불구하고 혁신지원기관을 바라보는 시각이 긍정적이지만 않다. 혁신지원기관 간 역할·기능의 유사·중복성은 지역단위 거버넌스의 복잡화를 야기하여 지역R&D사업의 기획·체계성을 약화시키는 측면이 있다. 또한 지역의 산업육성보다는 기관 중심의 운영·성과관리에 치중하는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지역적 성과 창출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등 지역혁신지원기관의 효율성 및 효과성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과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혁신지원기관의 효율화를 위한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혁신지원기관 간 기능·역할 포지셔닝 강화가 필요하다. 지역산업 육성과 기업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기능·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단계 및 기술특성별로 기능·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R&D사업의 기획·관리체계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적 거버넌스(전담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다. 지역 단위로 지역R&D사업에 대한 기획·관리·조정기능을 통합·수행하는 컨트롤타워를 설립하여 효과성·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혁신지원기관의 지역적 성과창출을 위해 지자체 중심의 통합적 성과관리체계가 필요하다. 특히 지역산업·기업 육성에 대한 기여 등 지역적 성과를 중심으로 하는 성과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0 Comment

(0/400) byte
Back to top